반응형

안녕하세요. 별리연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삽살개 품종입니다. 한국의 토종 삽살개 견종을 한번도 적지않아서 이렇게 적어보게 되었는데요. 논란이 많을것 같아서 삽살개 내용을 뺐던 이유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삽살개 내용안에 이런것도 있구나 라고 생각하고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삽살개 성격&주요질병&총정리
삽살개 성격&주요질병&총정리

삽살개 역사

이번에 알아볼 삽살개 품종은 천연기념물 제 368호로 한반도의 동남부에서 서식했습니다. 삽살개 이름의 뜻은 귀신이나 액운을 쫓아낸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삽살개 품종은 민담과 풍속화 그리고 고구려 고분벽화에도 많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오랜 세월 우리민족과 함께 살을 맞대고 살아왔던 것을 알수 있습니다. 

 

 

400년경에 고대 신라때부터 왕실과 귀족사회에서 삽살개 견종을 길러왔지만 통일신라가 망하게되면서 삽살개 견종이 민가로 흘러나오게되면서 고려와 조선때는 서민들 사이에서 사육되어지기도 했습니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신하 조선원피주식회사에 의해서 삽살개 견종들이 군용모피자원으로 사용이되었으며 이후 6.25 전쟁을 거치게되면서 숫자가 줄어들어 멸종 위기에 다다르게 되었습니다. 

삽살개 성격&주요질병&총정리

1969년 경북대학교 교수들이 삽살개 복원작업을 시작했으며 1985년 경북대학교 하지홍 교수가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대조리에서 체계적인 삽살개 보전사업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그후 1992년 3월 7일 경산의 삽살개 이름이 붙여졌고 천연기념물 368호라고 지정이 되었으며 현재는 한국 삽살개 보존회와 보존 육종연구소에서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삽살개 이름은 삽사리라고 불리이고도했으며 더풀, 더펄, 잡귀를 쫓는 퇴마견 등 구전되는 설화에따르면 청삽사리를 가리켜 사자방이라고 불러왔다고합니다. 사자방이라는 뜻은 사자새끼를 뜻하는 것이니 오해를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현재 이 견종을 키우고 싶으시다면 공식홈페이지에 방문해서 절찰르 받아서 분양을 해오셔야합니다. 

삽살개 성격&주요질병&총정리
삽살개 성격&주요질병&총정리

삽살개 성격

너무 가슴아픈 이야기이지만 예전에 세상에 나쁜개는 없다에서 강형욱 훈련사가 이야기 한것입니다. 삽살개 성격 내용에 관한것인데요. 삽살개 성격 공격성으로 인해서 의뢰를 많이오는데 그는 이제는 안사나워도 되는데 예전에는 집을 지키기위해서 사나웠어야 하기때문에 그 본능을 아직까지 가지고 있어 이러한 일이 생기는거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듣는내내 마음이 뭉클했습니다. 

 

 

우선 삽살개 성격 원래는 너무 온순하고 상냥하며 가족 구성원에게는 상당히 순종적이고 충성심이 강한 아이들입니다. 그리고 삽살개 성격 지능이 워낙에 뛰어나기때문에 강아지 시절에 본 사람도 잊지않으며 애교가 많고 영특합니다. 그런데 점점 커지게되면서 삽살개 성격 자체가 변하게되고 경계심이 있으며 사람에게 잘 의지하려고하지 않는답니다. 

삽살개 성격&주요질병&총정리

삽살개 성격 행동을 보면 돌발상황이 벌어지게되면 순발력과 민첩함으로 대처하고 다른 종들과 다툼이 생기게 되면 물러서지않고 포기하지 않는 모습을 보입니다. 그렇기때문에 삽살개 성격 훈련을 시킬때에는 훈련도구를 이용해서 시키는 것보다는 교감을 통해서 주인과 교감훈련을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삽살개 성격 지능이 워낙에 좋기때문에 제대로된 훈련만 시킨다면 번견, 구조견 등으로 손색이 없으며 산책이나 운동시에도 늘 주인곁에 붙어다니려는 습성을 보이게 됩니다. 한번 키우시면 영원히 키우셔야 하는 이유는 이 아이들은 한번 자신을 키워준 사람들은 절대 잊지않고 그리워 한다고하니 키우실때에 이들의 목숨이 다할때까지 키워주시기 바랍니다. 

삽살개 성격&주요질병&총정리
삽살개 성격&주요질병&총정리

삽살개 주요질병

여기에서 한가지 더 알아야 하는 점이 삽살개 주요질병 내용입니다. 키우기위해서는 삽살개 주요질병 정도는 알고 있으셔야 할것 같습니다. 그렇다고해서 처음부터 삽살개 주요질병 내용을 듣지않고 겁부터 먹지 마시기 바랍니다. 우리나라의 토종개 삽살개 주요질병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적으로 삽살개 주요질병 유전적인 면에는 아무것도 없이 건강하고 튼튼합니다. 잘적응을 하기때문에 풍토병에 강하고그래서 병치레를 잘 안하기때문에 관리만 잘해준다면 질환을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단, 귀가 덮여있기때문에 관리를 제대로 해주지 않으면 귓병이 자주 재발할수 있으니 귀에 대한 관리를 꾸준하게 해주실 필요가 있습니다. 

삽살개 성격&주요질병&총정리
삽살개 성격&주요질병&총정리

삽살개 생김새

우선적으로 삽살개 외관을보면 백색에 가까운 크림색이나 고동색, 흑색, 청회색, 드물게는 바둑이 패턴의 긴털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리고 털이 머리에도 자라기때문에 얼굴주변을 거의 다 덮어버리기도 합니다. 삽살개 덩치는 결코작지 않으며 성체의 크기가 중형견이고 좁은 집에서 기르기에는 조금 어려울수 있습니다. 

 

 

삽살개 눈을 덮고있는 긴눈썹을 옆으로 젖히게되면 귀신같이 날카롭게 바라보는 눈동자에 깜짝 놀란다라는 말이 있을정도로 삽살개 인상은 상당히 날카로운 편입니다. 사실 살짝 눈가의 털만 짧아도 저안에 상당히 매서운 눈이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물론 이는 삽살개 보기에따라서 달라보일수도 있습니다. 

삽살개 성격&주요질병&총정리

민담에 따르면 청백리로 유명한 황희가 삽살개 견종과 눈싸움을했는데 삽살개 품종이 빤히 눈을뜬채 황흐ㅢ와 마주보자 황희가 나도 갈때가됐구나 라고 말하면서 노년의 자신의 모습을 한탄했다라는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옵니다. 이말으느 즉 삽살개 강렬한 눈빛의 일화로 쓰이기도합니다. 

 

 

삽살개 키는 수컷이 55cm에서 63cm이고 암컷이 52cm에서 60cm이며 체중은 수컷이 22kg에서 30kg, 암컷은 20kg에서 28kg까지 나갑니다. 삽살개 털길이에 따라서 장모와 단모로 구분되어지며 삽살개 장모종은 긴털이 얼굴을 덮고있어 눈과 뒤로 누운 귀의 구분이 분명하지 않으며 코가 두드려져 보입니다. 

삽살개 성격&주요질병&총정리

삽살개 긴털로 덮여있는 머리는 마치 갈기가 있는 숫사자를 연상시키고 속털은 짧고 부드러우면서 숱이 많고 겉털은 길고 두꺼우며 직모, 반곱슬, 곱슬 형태를 보입니다. 삽살개 단모종은 이목구비가 시원하게보이며 꼬리털이 풍성하고 단모인 토종개들보다 털의 길이가 다소길매 삽살개 목과 하체 부위에 갈기가 있는것이 특징입니다. 

 

 

삽살개 어린 시절에는 성체랑 별로 닮지도 않았습니다. 마치 말티즈나 푸들의 어린시절을 보는듯한 어정쩡하게 곱슬거리는 털에 모량도 많지 않아서 다른개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삽살개 성장이 조금씩되면서 주변의 털이 풍성해져 특유의 몽실거리고 부드러운 외형을 점점 갖춰져갑니다. 

삽살개 성격&주요질병&총정리
삽살개 성격&주요질병&총정리

삽살개 털관리

이견종은 털관리를 어떻게 해주느냐에따라서 외형이 극도로 달라지게 됩니다. 우선적으로 삽살개 키우는 견주분이라면 부저런한 목욕과 빗질은 당연히 해야합니다. 만약 제대로 삽살개 털을 관리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양의 탈을 쓴 개가 되어버리고 털이 뭉쳐서 이물질과 함께 딱딱하게 덩어리져 빗질이 제대로 안되며 가위로 잘라도 잘리지 않는답니다. 

 

 

삽살개 털을 관리할 자신이 없으면 애견미용을 들려서 단모종 수준으로 털을 깍아주면 됩니다. 그리고 삽살개 눈 주위의 털은 눈을 다치게하고 개가 예민해지게 되기때문에 털관리를 평상시에 잘 해줘야합니다. 게으름만 피우지 않는다면 충분히 빗질과 목욕은 할수 있습니다. 

삽살개 성격&주요질병&총정리
삽살개 성격&주요질병&총정리

삽살개 논란

이부분은 개입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다 똑같은 생명이기때문에 이부분에 대해서는 알려져있는것만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의 삽살개 논란은 보호협회의 연구 중심이 주로 경북지역이였다라는 것을 고려해 최소한 20세기 중반까지 경북지역에서 살아남아 삽살기 이름으로 불리던 개를 과학적으로 복원하였다고 말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삽살개 복원에 앞장서고있는 하지홍 경북대 교수같은 경우에는 삽살개 품종에 대한 맹목적인 찬양과 같이 진돗개에 대한 비하와 지역드립까지하여 논란을 키우고 있습니다. 2002년 한일 월드컵 당시에 대회 마스코트를 주장하였고 삽살개 품종이 한국을 대표하는 개라면서 일본섞어찌개개인 진돗개와는 다르다고 논란을 불러오고 있으며 이들을 가리켜 전라도 지역출신이라느니 저급한 지역논쟁을 벌이기도 했습니다. 

삽살개 성격&주요질병&총정리

하지만 진돗개나 삽살개 품종이나 똑같이 우리나라를 위해서 힘써온 아이들입니다. 진돗개 역시 자신만의 역할을 해왔고 삽살개 품종은 안타깝개도 사람들에게 많은 도축을 당하였습니다. 이러한 아픈 역사들을 이아이들의 조상들은 모두다 알고 있을거라는 얘기입니다. 

 

 

이렇게해서 삽살개 견종에 대해서 알아보게 되었는데요. 이러쿵 저러쿵 나누지말고 이미 우리들의 토종개로 진돗개와 삽살개 견종이 되어있는것처럼 이대로 우리는 잘 보존하고 아이들을 잘 보호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그러면 삽살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